[네트워크]Reliable data transfer(rdt1.0, rdt2.0, rdt2.1, rdt2.2, rdt3.0)란?
·
Network
Reliable data transfer(rdt) 가 뭔가요? 먼저, RDT는 Reliable Data Transfer의 약어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손실, 중복, 순서 오류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TCP는 상위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하지만, 하위 계층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불안정한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TCP와 같은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송 계층에서는 RDT를 이용하여 하위 계층의 불안정성을 보완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위 그림에서 파란부분이 송신측이고 초록색 부분..
[네트워크]트렌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 5
·
Network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란? 인터넷은 매우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인터넷은 계층화되어서 설계가 되었는데, 이것이 네트워크 프로토콜 계층(Network protocol Layer)이다 위 그림처럼 7개의 계층으로 나뉘어 있는데, 우리가 잘 아는 IP는 네트워크 계층이고 HTTP는 응용계층에 속한다 그리고 이제 공부할 트랜스포트 계층은 7계층에서 Layer 4에 속해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7계층으로 나뉘기도 하고 4계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트랜스 포트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이에 있는 것처럼 트랜스포트 계층은 네트워크 구조의 핵심 역할을 한다 1. 서로 다른 호스트(Host)들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간에 논리적 통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