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
2023.03.10 - [Frontend/상호 디자인 Interaction Design] - [디자인]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정의와 왜 프로토타입이 필요한지
[디자인]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정의와 왜 프로토타입이 필요한지
프로토타입이란 디자인에서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은 제품 또는 시스템의 예비 버전 또는 모델로,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에 개발자들이 만들어 보는 시제품입니다. 예를 들어, 화면 스케치, 스토
jelong.tistory.com
프로토타이핑의 충실도(Fidelity of Prototyping)
Fidelity in prototyping은 프로토타입의 완성도와 현실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프로토타입이 실제 제품에 얼마나 가깝게 디자인되었는지, 즉 디자인의 세부사항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반영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Fidelity는 일반적으로 low-fidelity와 high-fidelity로 구분됩니다.
- Low-fidelity prototype은 디자인이나 기능을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그래픽이나 인터랙션의 세부사항은 덜 구체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 high-fidelity prototype은 디자인의 완성도와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그래픽, 인터랙션, 애니메이션 등의 세부사항까지 고려하여 제작됩니다.
프로토타입의 fidelity는 프로젝트의 목적, 시간, 비용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Low-fidelity prototype은 빠르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디자인 아이디어를 검증하거나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high-fidelity prototype은 제품의 디자인이나 기능을 최대한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로젝트의 나중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프로토타이핑을 할 때는 프로젝트의 목적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fidelity를 설정하고, 디자인의 세부사항을 적절히 반영하여 효과적인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야 합니다
저품질 프로토타이핑(Low fidelity prototyping)
저품질 프로토타이핑에는 스케칭이나 인덱싱, wizard of Oz와 같은 기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저품질 프로토타이핑은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스케칭
스케치는 저희가 원하는 제품 또는 디자인을 빠르게 시각화하는 데에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저희가 원하는 디자인을 빠르게 구상하고 적절한 수정을 거쳐 가며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스케치를 활용합니다
인덱싱
인덱스 카드(3 X 5 인치)는 각각 한 화면을 대표하는 카드입니다. 이 카드는 주로 웹사이트 개발, 애플리케이션, 미니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각각의 카드를 사용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화면 간 이동 및 연결을 설계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을 미리 파악하고, 레이아웃, 콘텐츠 및 기능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디자인의 수정과 개선을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화면을 빠르게 제작하여 프로토타이핑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인덱스 카드 방법은 매우 직관적이며,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과 디자인 팀 간의 협업을 향상시키고, 시각적인 표현을 이용하여 복잡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Wizard of Oz
"Wizard of Oz" 디자인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사용자 경험(UX)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론은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의 초기 버전을 빠르게 제작하고 사용자들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사러 가기 전에 먼저 쇼핑몰의 웹사이트에서 상품을 검색해본다고 생각해보세요. 이때 Wizard of Oz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디자이너는 쇼핑몰 웹사이트를 프로토타입으로 만들어서, 사용자가 검색 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상품 목록을 보여주도록 합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검색어와 일치하지 않는 상품이나 결과가 없는 경우에 대한 처리 방법이 정해져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디자이너는 Wizard of Oz 방법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시뮬레이션하고, 검색어와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지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는 검색어와 일치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 "죄송합니다. 해당 상품을 찾을 수 없습니다. 다른 검색어를 시도해보세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고품질 프로토타이핑(High fidelity of prototyping)
고급 프로토타이핑은 최종 제품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됩니다. 이 방법은 저급 프로토타이핑에 비해 최종 제품과 더 비슷한 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품질 프로토타이핑을 위해서는 몇 가지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 목적과 대상 사용자 파악: 프로토타이핑의 목적과 대상 사용자를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목적이 뚜렷하고 대상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은 프로토타입의 디자인과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에 도움이 됩니다.
- 사용자 피드백 수집: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사용자들에게 피드백을 수집하는 것은 프로토타입의 충실도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사용자의 피드백은 프로토타입 디자인의 개선과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 디자인 툴 활용: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데에는 다양한 디자인 툴들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도 사용자 경험을 시뮬레이션하고 프로토타입의 높은 충실도를 달성할 수 있는 디자인 툴들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Sketch, Figma, Adobe XD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 디자인의 일관성: 프로토타입 내에서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프로토타입의 디자인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기능적인 충실도: 프로토타입은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충실도가 높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기능을 구현해야 합니다.
- 프로토타입의 퀄리티: 프로토타입의 퀄리티는 디자인의 퀄리티와 함께 중요합니다.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세부사항을 신경써야 하며, 가능한 실제 제품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해야 합니다.
Trade off 란?
"Trade off(트레이드 오프)"란, 어떤 선택을 할 때 한 가지 목적을 달성하면서 다른 목적을 포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두 가지 이상의 요소 사이에는 상호 보완적인 특성이 있어 하나의 요소를 강화하면 다른 요소를 약화시키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프로토타이핑의 타협(Compromises in prototyping)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항상 어느 정도의 타협이 필요합니다. 소프트웨어 기반 프로토타입의 경우, 반응이 느린 문제, 그리거나 불명확한 아이콘, 제한된 기능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입에서 흔한 두 가지 타협 방식은 수평 방식과 수직 방식입니다.
수평 방식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세부 정보는 제한적이고,
수직 방식은 몇 가지 기능에 대해 많은 세부 정보를 제공하지만 기능 범위가 제한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어떠한 여행 앱에 대하여 프로토타이핑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앱에 제공되는 기능은 많지만 이러한 기능들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는 수평 방식이고,
몇가지 기능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지만 기능이 제한적이라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이 타회사 앱을 사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수직방식이라고 합니다
어떤 기능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은, 해당 기능이나 요소에 대한 정보나 설명이 부족하여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회사는 프로토타입을 설계할 때, 수평 방식과 수직 방식의 타협점을 찾아야 합니다. 회사는 모든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UI 디자인이 더 나은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고민하거나, 일부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면서도 모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최종 제품의 성능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